네트워크 Network
문제편
1. OSI 7 Layer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에 대해 설명하시오.
3. ARP, GARP, RARP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4. Stateless, Statefull에 대해 설명하시오.
5. VLAN과 Trunk에 대해 설명하시오.
6.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에 대해 설명하시오.
7. 비트, 프레임, 패킷, 세그먼트, 데이터, PDU, 페이로드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8. MTU와 MSS의 차이는?
9. TCP Sliding Window란?
10. 웹브라우저에서 웹서버로 가기 위한 DNS 흐름을 설명하시오.
11. 영역 전송 제어를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 DNS 레코드는?
12.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에 대해 설명하시오.
해답편
1. OSI 7 Layer에 대해 설명하시오.
=>
L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전송합니다. 케이블, 허브 등의 하드웨어가 여기에 속합니다.
L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적인 연결 상에서 오류 검출 및 수정,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링크를 제공합니다. MAC 주소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하며, 스위치가 이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L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데이터의 라우팅과 패킷 전달을 관리합니다. IP 주소를 사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라우터가 이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L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종단간 통신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분할 및 재조립, 흐름 제어, 오류 복구 등을 제공합니다. TCP와 UDP 프로토콜이 여기에 속하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담당합니다.
L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양 끝단 간의 세션(세션 토큰, 동기화 등) 관리와 대화 제어를 담당합니다. 세션 복구 및 관리를 담당합니다.
L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데이터의 형식 변환, 암호화, 압축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다른 계층에게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L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곳으로, 이메일, 웹 브라우징,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에 대해 설명하시오.
=>
- 유니캐스트 : 1:1. 대부분의 인터넷 통신
- 브로드캐스트 : 1:ALL. 그만큼 트래픽이 과도해짐
- 멀티캐스트 : 1:특정그룹. 스트리밍 등에 사용됨.
3. ARP, GARP, RARP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 IP와 MAC 정보 교환을 위한 브로드캐스팅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들.
- ARP : IP주소를 기반으로 MAC을 달라고 브로드캐스팅. 다른 서버의 네트워크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 GARP : 자신의 IP와 MAC을 알리려고 브로드캐스팅. 자신의 변화된 상태를 알리려고.
- RARP : MAC주소를 기반으로 IP주소를 달라고 브로드캐스팅. 그러나 DHCP로 잘 쓰이지 않음.
4. Stateless, Statefull에 대해 설명하시오.
=>
- Stateless : 상태 비저장. UDP 등
- Statefull : 상태저장. TCP 등
5. VLAN과 Trunk에 대해 설명하시오.
=>
- VLAN : 논리적으로 분리된 가상 네트워크.
- Trunk : VLAN을 사용하기 위한 포트.
6. 3-way handshake와 4-way handshake에 대해 설명하시오.
=>
- 3-way handshake : TCP 연결 설정
1) Client > Server : SYN [받았니?]
2) Server > Client : SYN ACK [받았어!]
3) Client > Server : ACK [알았어!]
- 4-way handshake : TCP 연결 해제
1) Client > Server : FIN (ACK)
2) Server > Client : ACK
3) Server > Client : FIN
4) Client > Server : ACK
7. 비트, 프레임, 패킷, 세그먼트, 데이터, PDU, 페이로드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 PDU란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기본 단위. 네트워크 모델과 Layer마다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페이로드란 데이터 전송시 순수 실질적인 데이터만을 말한다. 따라서 페이로드 + 헤더 = PDU
다음은 OSI 7 Layer에서의 PDU들.
- Bit : L1
- Frame : L2. (L2 페이로드[App Data + L7헤더 + L4헤더 + L3헤더] + L2헤더)
- Packet : L3 (L3 페이로드[App Data + L7헤더 + L4헤더] + L3헤더)
- Segment : L4 (L4 페이로드[App Data + L7헤더] + L4헤더)
- Data : L5 ~ L7 (L7 페이로드[App Data] + L7헤더)
8. MTU와 MSS의 차이는?
=> 3920byte가 있다고 할 때,
- MSS : TCP 세그먼트에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
위의 예시처럼 3920byte일 때, 1460byte가 1개의 MTU에 담긴다. (나머지는 TCP/IP 헤더)
- MTU : IP 패킷의 최대 크기. 일반적인 디폴트가 1500byte이다.
9. TCP Sliding Window란?
=> 수신측이 "지금 빈자리가 이만큼이라 이만큼만 받을 수 있으니 이만큼만 주세요!"라고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것.
3way handshaking가 확립되고 본격적인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즉 흐름 제어의 단계에서
수신 측은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있다. 자리가 남아야 데이터를 받을 것이다.
그렇게 수신측이 한번에 받을 수 있는 양이 윈도우(Window)이다.(ex : MTU 4.5개 등)
따라서 송신 측은 이 윈도우 이상의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다. 어차피 보내봤자 못받으므로.
예를 들어 수신측의 새 데이터가 들어올 자리가 가득찼다면, 만석이라면 Window를 '0'으로 알린다.
송신측은 0이므로 송신을 중지한다.
이렇게 되면 수신측은 받아들이지 못하는 일이 없으면서 가능한 많은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이것이 슬라이딩 윈도우.
10. 웹브라우저에서 웹서버로 가기 위한 DNS 흐름을 설명하시오.
=>
11. 영역 전송 제어를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 DNS 레코드는?
=> SOA 레코드
12. 정적 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에 대해 설명하시오.
=> 라우팅 중 라우팅 설정을 수동으로 하냐, 자동으로 하냐에 따라 정적/동적 라우팅으로 나뉜다.
동적 라우팅은 다시 조직(AS)안에서 사용하는 OSPF 등이 있고, 조직(AS)밖에서 사용하는 BGP가 있다.
'면접을 위한 CS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엔지니어 면접을 위한 CS 지식 정리 7 - 운영 (0) | 2023.09.07 |
---|---|
클라우드 엔지니어 면접을 위한 CS 지식 정리 6 - 보안 (0) | 2023.09.03 |
클라우드 엔지니어 면접을 위한 CS 지식 정리 4 - 리눅스 (0) | 2023.08.22 |
클라우드 엔지니어 면접을 위한 CS 지식 정리 3 - 스토리지 (0) | 2023.08.15 |
클라우드 엔지니어 면접을 위한 CS 지식 정리 2 - 가상화와 OS (0) | 2023.08.11 |